Spring Cloud - Resilience4J!
Resilience4J
https://github.com/resilience4j/resilience4j
https://resilience4j.readme.io/docs
Resilience4J
는 서비스의 가용성을 위해 아래 MSA 가용성 향상을 위한 기술을 지원하는 라이브러리이다.
Circuit Breaker 외에도 아래와 같은 4가지 추가기능을 제공한다.
resilience4j-circuitbreaker
: Circuit breakingresilience4j-bulkhead
: Bulkheadingresilience4j-ratelimiter
: Rate limitingresilience4j-retry
: Automatic retrying (sync, async)resilience4j-timelimiter
: Timeout handling
Resilience4J
라이브러리도 결국은 메서드의 겉을 try..catch
문으로 감싸고 개발자가 정의한 로직대로 움직이도록 지원하는 정교한 라이브러리일 뿐이며
각종 람다식과 데코레이터 패턴을 구성하여 좀더 유지보수하기 쉽고 간결하게 구현하였을 뿐이다.
위의 Resilience4J
의 코어 라이브러리 별 역할을 알아보고 어떻게 우리가 정의한 메서드에 적용시킬 수 있는지 알아본다.
CircuitBreaker
Circuit breaker(회로 차단기) 위키: 전기 회로에서 과부하가 걸리거나 단락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자동으로 회로를 정지시키는 장치
MSA 환경에선 하나의 마이크로 서비스 장애가 다른 서비스로의 장애 전파로 이뤄질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의 장애가 발견되면 개발자의 장애 대응 로직으로 전환될수 있도록 해야한다.
즉 Cacading Failure
를 방지하기 위해 Circuit breaker
를 사용한다 할 수 있다.
장애를 발견하고 대응 로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Circuit breaker
라 한다.
그림과 같이 connection problem
이 발생해 2번 이상 time out
에러가 발생하면 circuit breaker
을 동작시킨다.
Resilience4J
에서 Circuit breaker
는 3가지 상태를 할당받는 회로차단기이자 state machine
이다.
closed
open
half-open
함수 호출의 실패율이 임계값을 넘으면 closed
에서 open
으로 변경된다.
open
상태일 때 메서드 호출을 거부하고 설정한 대기시간이 지나면 half-open
한다.
half-open
상태에서 메서드 호출을 허용하고 설정한 실패 임계치에 따라 다시 open
할지 closed
할지 결정한다.
임계치를 통한 상태의 결정은 sliding window
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설정한 sliding window
개수 안에 임계치가 넘는 장애가 발생하면 closed
에서 open
으로 상태가 변경된다.
sliding window
는 time based
, count based
가 있으며 기본값은 COUNT_BASED
이다.
실패 비율 및 각종 설정을 할 수 있다.
// Create a custom configuration for a CircuitBreaker
CircuitBreakerConfig cbc = CircuitBreakerConfig.custom()
.failureRateThreshold(50) // 실패 비율 임계치 백분율, 상태의 전환점, default 50
.slowCallRateThreshold(50) // 느린 호출 임계치 백분율, 상태의 전환점, default 100
.slowCallDurationThreshold(Duration.ofSeconds(2)) // 느린호출 판단 임계치
.waitDurationInOpenState(Duration.ofMillis(1000)) // open에서 half-open으로 전환하기 전 기다리는 시간
.permittedNumberOfCallsInHalfOpenState(3) // half-open 시 허용 호출 수, default 10
.minimumNumberOfCalls(10) // slide window 를 위한 최소 호출 수, default 100
.slidingWindowSize(5) // close 상태에서 호출 결과를 기록할 때 쓸 window 크기, defualt 100
.slidingWindowType(CircuitBreakerConfig.SlidingWindowType.TIME_BASED) // default COUNT_BASED
.recordExceptions(IOException.class, TimeoutException.class) // 실패로 기록할 예외
.recordException(e -> true) // 모든 예외를 실패로 기록, 커스텀하여 false 반환하면 기록하지 않음
.ignoreExceptions(BusinessException.class, OtherBusinessException.class) // 실패, 성공으로 기록하지 않음
.build();
그외의 설정과 설명은 아래 url 참고
정의한 설정대로 CircuitBreakerRegistry
를 생성하고
CircuitBreakerRegistry
를 사용해 CricuitBreaker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 config
CircuitBreakerConfig cbc1 = CircuitBreakerConfig.ofDefaults();
CircuitBreakerConfig cbc2 = CircuitBreakerConfig.ofDefaults();
// registry
CircuitBreakerRegistry registry = CircuitBreakerRegistry.of(cbc1); // "default" key 로 들어감
registry.addConfiguration("demo-cbc", cbc2);
// instance
CircuitBreaker cb1 = registry.circuitBreaker("default-cb");
CircuitBreaker cb2 = registry.circuitBreaker("demo-cb", "demo-cbc");
CircuitBreaker cb_default = CircuitBreaker.of("my-db", cbc1); // registry 안통하고 바로 생성 가능
CircuitBreakerRegistry
에서 CircuitBreakerConfig
를 HashMap
으로 관리하며
여러개 저장해두 었다 적재적소에 꺼내어 CircuitBreaker
인스턴스 생성이 가능하다.
앞으로 나올 Resilience4J
의 다른 core 라이브러리도
동일한 registry-config-instance
생성 구조를 가졌으니 참고
CircuitBreaker
의 유일한 구현체인 CircuitBreakerStateMachine
가 회로차단기로써 각종 이벤트들을 처리한다.
onSuccess
: 메서드 정상완료시 발생onError
: 메서드 실패시 발생onIgnoredError
: 무시되는 예외일경우 발생onReset
: 초기화시 발생onStateTransition
:state
변경시 발생
onSuccess
, onError
, onIgnoredError
이벤트의 경우 메서드 호출시 발생하며 onReset
의 경우 의도적으로 reset
하지않는이상 발생할 일이 없다.
state
변경은 CircuitBreaker
의 핵심으로 config
에 설정한 임계값에 도달할 경우 state
가 변경되면서 onStateTransition
가 호출된다.
임계치 감시는 CircuitBreakerMetrics
클래스를 통해 이루어지며 처음 closed
상태에서 생성되었다가 CircuitBreaker
상태가 변경될 때 마다 새로 생성된다.
onSuccess
, onError
가 발생할 때 마다 이벤트가 호출되면서 CircuitBreakerMetrics
를 업데이트하는 구조이다.
Bulkhead
Bulkhead: 격벽
선체 내부공간이 침몰해도 격벽으로 인해 다른 선체공간에는 물이차지 않는다는 개념
https://learn.microsoft.com/ko-kr/azure/architecture/patterns/bulkhead
서비스의 과도한 요청은 해당 서비스를 소비하는 다른 서비스의 장애를 야기함으로
MSA 환경에서 사용되는 패턴으로 타 서비스에 접근하는 동시 실행 수를 제한하는 패턴을 격벽패턴(Bulkhead) 이라 한다.
SemaphoreBulkhead
: 세마포어 사용FixedThreadPoolBulkhead
: 고정된 스레드 풀을 사용
성능상
FixedThreadPoolBulkhead
사용을 권장
// SemaphoreBulkhead
BulkheadConfig config = BulkheadConfig.custom()
.maxConcurrentCalls(150) // 허용할 병렬 실행 수, default 25
.maxWaitDuration(Duration.ofMillis(500)) // 포화상태일 때 block 시간, default 0
.build();
BulkheadRegistry registry = BulkheadRegistry.of(config);
Bulkhead b1 = registry.bulkhead("name1");
// FixedThreadPoolBulkhead
ThreadPoolBulkheadConfig config = ThreadPoolBulkheadConfig.custom()
.maxThreadPoolSize(10) // 최대 스레드 풀 크기, default availableProcessors
.coreThreadPoolSize(2) // 코어 스레드 풀 크기, default availableProcessors - 1
.queueCapacity(20) // 대기열의 용량, default 100
.build();
ThreadPoolBulkheadRegistry tpbr = ThreadPoolBulkheadRegistry.of(config); // "default" key 로 들어감
ThreadPoolBulkhead tpb = tpbr.bulkhead("name1");
ThreadPoolBulkheadConfig tpbc = ThreadPoolBulkheadConfig.custom()
.maxThreadPoolSize(5)
.build();
ThreadPoolBulkhead bulkheadWithCustomConfig = tpbr.bulkhead("name2", tpbc);
RateLimiter
Rate limiting
은 서비스의 고가용성과 안정성을 확립하기 위해
API 요청(트래픽) 제한치를 넘어간 것을 감지했을 때의 동작, 제한 할 요청 타입 등을 정의할 수 있다.
간단히 제한치를 넘어선 요청을 거부하거나, 큐를 만들어 나중에 실행할 수도 있고, 어떤 방식으로든 두 정책을 조합해도 된다.
limit
감지는 아래 그림처럼 이루어 진다.
매 cycle
마다 갱신되는 period
가 있고
period
가 0일 때 접근시 정지(park) 했다가 다시 접근하는 구조이다.
RateLimiterConfig config = RateLimiterConfig.custom()
.limitRefreshPeriod(Duration.ofMillis(1)) // 스레드가 period 흭득을 기다리는 시간, default 5s
.timeoutDuration(Duration.ofMillis(25)) // period 갱신 주기, default 500ns
.limitForPeriod(10) // period 수, default 50
.build();
RateLimiterRegistry rateLimiterRegistry = RateLimiterRegistry.of(config);
RateLimiter rateLimiterWithDefaultConfig = rateLimiterRegistry.rateLimiter("name1");
RateLimiter rateLimiterWithCustomConfig = rateLimiterRegistry.rateLimiter("name2", config);
Retry
실패한 요청에 대한 재시도 정책을 구성할 수 있다.
RetryConfig config = RetryConfig.custom()
.maxAttempts(2) // 재시도 횟수 default 3
.waitDuration(Duration.ofMillis(1000)) // 재시도 대기시간
.retryOnResult(response -> response.getStatus() == 500) // 재시도 여부 predicate, default just return false
.retryOnException(e -> e instanceof WebServiceException) // 재시도 여부 exception predicate
.retryExceptions(IOException.class, TimeoutException.class) // 실패도 기록해서 재시도할 예외, default null,
.ignoreExceptions(BusinessException.class, OtherBusinessException.class) // 무시할 예외, 재시도 X, default null
.failAfterMaxAttempts(true) // 재시도 결과 끝내 실패시 MaxRetriesExceededException 발생 여부, default false
.build();
RetryRegistry registry = RetryRegistry.of(config);
Retry retryWithDefaultConfig = registry.retry("name1");
RetryConfig custom = RetryConfig.custom()
.waitDuration(Duration.ofMillis(100))
.build();
Retry retryWithCustomConfig = registry.retry("name2", custom);
TimeLimiter
실행중인 메서드의 time limit
을 관리한다.
TimeLimiterConfig config = TimeLimiterConfig.custom()
.cancelRunningFuture(true) // 실행중인 Future 에서 취소여부, default true
.timeoutDuration(Duration.ofMillis(500)) // 제한 시간, default 1s
.build();
TimeLimiterRegistry registry = TimeLimiterRegistry.of(config);
TimeLimiter timeLimiter1 = registry.timeLimiter("name1");
TimeLimiter timeLimiter2 = registry.timeLimiter("name2", config);
usage 에서 @TimeLimiter
어노테이션을 사용하거나 데코레이터로 감싸 사용하는데
반환타입이 Mono
, Flux
, CompletableFuture
셋중 하나여야 한다.
usage
CircuitBreaker
, Bulkhead
, RateLimiter
, Retry
, TimeLimiter
모두 데코레이트 패턴을 기반으로 하는 객체들로
적용하고 싶은 메서드를 감쌓면 된다.
public class BackendService {
// 감싸고싶은 메서드
public String doSomething() {
try {
Thread.sleep(1000);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return "error invoked, msg:" + e.getMessage();
}
return "hello " + LocalDateTime.now();
}
}
event publisher
를 통해 각종 설정에 따라 호출할 event
메서드 정의 가능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ackendService backendService = new BackendService();
CircuitBreaker circuitBreaker = CircuitBreaker.ofDefaults("backendService");
circuitBreaker.getEventPublisher()
.onSuccess(event -> System.out.println("onSuccess invoked, " + event))
.onError(event -> System.out.println("onError invoked, " + event))
.onIgnoredError(event -> System.out.println("onIgnoredError invoked, " + event))
.onReset(event -> System.out.println("onReset invoked, " + event))
.onStateTransition(event -> System.out.println("onStateTransition invoked, " + event))
;
String result1 = circuitBreaker.executeSupplier(() -> backendService.doSomething());
System.out.println(result1);
}
onSuccess invoked, 2023-05-02T17:42:36.286077+09:00[Asia/Seoul]: CircuitBreaker 'backendService' recorded a successful call. Elapsed time: 1023 ms
hello 2023-05-02T17:42:36.266595
CircuitBreaker
, Retry
, Bulkhead
모두 한 supplier
람다 메서드에서 동작해야 할 경우 아래와 같이 데로레이트 패턴으로 감싸면 된다.
BackendService backendService = new BackendService();
CircuitBreaker circuitBreaker = CircuitBreaker.ofDefaults("backendService");
circuitBreaker.getEventPublisher()
.onSuccess(event -> System.out.println("circuitBreaker onSuccess invoked, " + event))
.onError(event -> System.out.println("circuitBreaker onError invoked, " + event))
.onIgnoredError(event -> System.out.println("circuitBreaker onIgnoredError invoked, " + event))
.onReset(event -> System.out.println("circuitBreaker onReset invoked, " + event))
.onStateTransition(event -> System.out.println("circuitBreaker onStateTransition invoked, " + event));
Retry retry = Retry.ofDefaults("backendService");
retry.getEventPublisher()
.onRetry(event -> System.out.println("retry onRetry invoked, " + event))
.onSuccess(event -> System.out.println("retry onSuccess invoked, " + event))
.onError(event -> System.out.println("retry onError invoked, " + event))
.onIgnoredError(event -> System.out.println("retry onIgnoredError invoked, " + event));
Bulkhead bulkhead = Bulkhead.ofDefaults("backendService");
bulkhead.getEventPublisher()
.onCallPermitted(event -> System.out.println("bulkhead onCallPermitted invoked, " + event))
.onCallRejected(event -> System.out.println("bulkhead onCallRejected invoked, " + event))
.onCallFinished(event -> System.out.println("bulkhead onCallFinished invoked, " + event));
// decorate
Supplier<String> supplier = () -> backendService.doSomething();
supplier = CircuitBreaker.decorateSupplier(circuitBreaker, supplier);
supplier = Retry.decorateSupplier(retry, supplier);
supplier = Bulkhead.decorateSupplier(bulkhead, supplier);
String result = supplier.get();
System.out.println(result);
bulkhead onCallPermitted invoked, 2023-05-02T18:57:07.145426+09:00[Asia/Seoul]: Bulkhead 'backendService' permitted a call.
circuitBreaker onSuccess invoked, 2023-05-02T18:57:08.172639+09:00[Asia/Seoul]: CircuitBreaker 'backendService' recorded a successful call. Elapsed time: 1000 ms
bulkhead onCallFinished invoked, 2023-05-02T18:57:08.176404+09:00[Asia/Seoul]: Bulkhead 'backendService' has finished a call.
hello 2023-05-02T18:57:08.164362
usage - Spring Cloud
https://github.com/resilience4j/resilience4j-spring-boot2-demo 공식
Spring Boot Resilience4j Demo
페이지를 보는 것을 추천
위의 데코레이트 패턴으로 Resilience4j
를 적용할 때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경우 수작업으로 [CircuitBreakerir, Retry, Bulkhead]
객체를 생성해서 데코레이트 패턴으로 감쌓는 작업을 하지않는다.
아래와 같이 Spring Boot AOP
를 사용해 어노테이션으로 데코레이트 패턴을 구현한다.
@Service(value = "backendAService")
public class BackendAService implements Service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BACKEND_A = "backendA";
@Override
@CircuitBreaker(name = BACKEND_A)
@Bulkhead(name = BACKEND_A)
@Retry(name = BACKEND_A)
public String failure() {
throw new HttpServerErrorException(HttpStatus.INTERNAL_SERVER_ERROR, "This is a remote exception");
}
@Override
@CircuitBreaker(name = BACKEND_A)
@Bulkhead(name = BACKEND_A)
public String ignoreException() {
throw new BusinessException("This exception is ignored by the CircuitBreaker of backend A");
}
...
}
CircuitBreakerRegistry
에 CircuitBreakConfig
를 설정하고 위의 @CircuitBreaker
name
속성과 매핑해서 사용할 수 있다.
resilience4j.circuitbreaker.instances.backendA.sliding-window-size=10
resilience4j.circuitbreaker.instances.backendB.sliding-window-size=12
java config
로 설정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CircuitBreakerRegistry
를 @Bean
으로 재등록해야 한다.
@Bean
public CircuitBreakerRegistry circuitBreakerRegistry() {
RegistryStore<CircuitBreaker> stores = new InMemoryRegistryStore<>();
stores.putIfAbsent("backendA", CircuitBreaker.of("backendA", CircuitBreakerConfig
.from(CircuitBreakerConfig.ofDefaults())
.slidingWindowSize(10)
.build()));
stores.putIfAbsent("backendB", CircuitBreaker.of("backendB", CircuitBreakerConfig
.from(CircuitBreakerConfig.ofDefaults())
.slidingWindowSize(12)
.build()));
CircuitBreakerRegistry registry = CircuitBreakerRegistry.custom()
.withCircuitBreakerConfig(CircuitBreakerConfig.ofDefaults())
.withRegistryStore(stores)
.build();
return registry;
}
java config
보다properties
기반 구성이 가독성이 좋음으로properties
사용을 권장
Resilience4j AOP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미리 생성해둔 CircuitBreaker
인스턴스를 부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RegistryStore
에 사전에 객체를 생성해서 저장해두어야 한다.
동일한 CircuitBreaker
인스턴스를 사용할 경우 state
가 open
으로 변경되면 해당 CircuitBreaker
인스턴스를 사용하는 모든 메서드는 예외처리됨으로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등록하는 과정을 꼭 거쳐야한다.
비단 CircuitBreaker
뿐 아니라 Bulkhead
, Retry
모두 Register
구조를 따르고 있음으로 동일하게 구성하면 된다.
어노테이션과 AOP 를 사용하면 자동 생성되는 코드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데코레이트된다.
properties
를 사용해 순서를 변경 가능함으로 참고
Retry(CircuitBreaker(RateLimiter(TimeLimiter(Bulkhead(Function)))))
resilience4j.circuitbreaker.circuitBreakerAspectOrder=1
resilience4j.retry.retryAspectOrder=2
usage - Feign
아래와 같이 @FeignClient
어노테이션을 가진 클래스 메서드에 바로 Resilience4j
어노테이션을 적용해도 상관없다.
@FeignClient(name = "product-service")
public interface ProductClient {
@CircuitBreaker(name = "product")
@PostMapping("/product/{ids}")
List<Product> findByIds(@PathVariable List<Long> ids);
}
아래 resilience4j-feign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면 Feign
객체에 집접적으로 Resilience4j
의 데코레이트 패턴을 적용할 수 있도록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implementation "io.github.resilience4j:resilience4j-feign"
기존 Feign.builder
메서드를 사용하지 않고 Resilience4jFeign.builder
메서드를 사용해 Resilience4j
로 데코레이트된 Feign
객체를 반환한다.
@Bean
ProductRequestLine productService(@Autowired ObjectFactory<HttpMessageConverters> messageConverters) {
FeignDecorators decorators = FeignDecorators.builder()
.withCircuitBreaker(CircuitBreaker.ofDefaults("product"))
.withRateLimiter(RateLimiter.ofDefaults("product"))
.build();
return Resilience4jFeign.builder(decorators)
.encoder(new SpringEncoder(messageConverters))
.decoder(new SpringDecoder(messageConverters))
.target(ProductRequestLine.class, "http://localhost:8080/");
}
개인적으로
@FeignClient
와Resilience4j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방법이 더 구성하기 쉽고 간결한 것 같음
fallback
Resilience4j
에선 예외 방지정책으로 fallback
기능을 제공한다.
io.github.resilience4j:resilience4j-all
의존성을 주입하면 아래처럼 fallback
메서 핸들링할 예외를 직접 지정할 수 있다.
클래스명처럼 데코레이트 패턴을 이용하여 구현한다.
Supplier<String> supplier = () -> backendService.doSomething();
Decorators.DecorateSupplier<String> decorateSupplier = Decorators.ofSupplier(supplier)
.withBulkhead(bulkhead)
.withCircuitBreaker(circuitBreaker)
.withFallback(asList(TimeoutException.class,
CallNotPermittedException.class,
BulkheadFullException.class), throwable -> "Hello from Recovery");
result = decorateSupplier.get();
Resilience4j
의 모든 core 서비스에는 fallback
정의가 가능하다.
@CircuitBreaker(name = BACKEND_A, fallbackMethod = "failureFallback")
@RateLimiter(name = BACKEND_A, fallbackMethod = "failureFallback")
@Bulkhead(name = BACKEND_A, fallbackMethod = "failureFallback")
@Retry(name = BACKEND_A, fallbackMethod = "failureFallback")
public String failure() {
log.info("failure invoked");
throw new HttpServerErrorException(HttpStatus.INTERNAL_SERVER_ERROR, "This is a remote exception");
}
public String failureFallback(Exception e) {
log.info("failureFallback invoked, error type:{}, msg:{}", e.getClass().getSimpleName(), e.getMessage());
return "failure invoked but return string";
}
Retry
의 경우 본 메서드 실패시 Fallback
메서드 실행된다(Fallback
메서드가 실패하면 다시 Retry
의 반복)
CircuitBreaker
의 경우 state open
되어야 Fallback
메서드가 실행된다.
RateLimiter
의 경우 지정된 period
한계를 넘었을 때 Fallback
메서드가 실행된다.
Bulkhead
의 경우 세마포어 혹은 스레드 풀이 다 차서 호출할 수 없을 때 Fallback
메서드가 실행된다.
메서드 실행시 단순 예외 발생으로 인해
Fallback
호출하는 경우는Retry
의fallback
속성밖에 없다.
라이브러리가 다르기에 위에있는 Decorators
가 아닌 FallbackDecorators
를 사용해 구현하였지만
근본적으로 데코레이트한 메서드에서 예외가 발생하면 예외 종류별로 지정해둔 핸들러메서드를 호출하는 구조는 동일하다.
Retry
, CircuitBreaker
, RateLimiter
, Bulkhead
별로 발생하는 예외의 종류가 다르기에 별도로 Fallback
에 헨들러메서드를 등록해두는 것 뿐이다.
fallback with openfeign
@FeignClient
에도 fallback
속성이 있지만 자체적인 데코레이트 코드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Resilience4j
에 의존적인 코드이다.
openfeign
라이브러리에 아래와 같은 코드가 있다.
package org.springframework.cloud.openfeign;
public class FeignAutoConfiguration {
...
@Configuration(proxyBeanMethods = false)
@ConditionalOnClass(CircuitBreaker.class)
@ConditionalOnProperty(value = "feign.circuitbreaker.enabled", havingValue = "true")
protected static class CircuitBreakerPresentFeignTargeterConfiguration {
@Bean
@ConditionalOnMissingBean(CircuitBreakerFactory.class)
public Targeter defaultFeignTargeter() {
return new DefaultTargeter();
}
@Bean
@ConditionalOnMissingBean
@ConditionalOnBean(CircuitBreakerFactory.class)
public Targeter circuitBreakerFeignTargeter(CircuitBreakerFactory circuitBreakerFactory) {
return new FeignCircuitBreakerTargeter(circuitBreakerFactory);
}
}
...
}
CircuitBreakerFactory
Bean
의 존재여부에 따라
DefaultTargeter
를 통해 일반적인 Feign
객체를 만들지,
FeignCircuitBreakerTargeter
를 통해 CircuitBreaker
로 데코레이트된 Feign
객체를 만들지 결정된다.
CircuitBreakerFactory
, CircuitBreaker
모두 interface
로 Spring Cloud
라이브러리에 구현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직접 구현하거나 Resilience4j
에 정의되어 있는 CircuitBreakerFactory
, CircuitBreaker
구현체를 사용해야 한다.
당연히
Resilience4j
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
Resilience4j
라이브러리를 의존하면서 자연스럽게 모든 Feign
객체들은 FeignCircuitBreakerTargeter
를 통해 생성될 것이고 fallback
속성또한 데코레이트 된다.
feign
의 fallback
속성은 모든 예외에 대해 fallback
메서드로 전달된다.
위에서 나온 FeignDecorators.builder
로도 fallback 구성이 가능하다.
@Bean
ProductRequestLine productService(@Autowired ObjectFactory<HttpMessageConverters> messageConverters) {
// builder 순서대로 ordering 됨
ProductRequestLine requestFailedFallback = ...;
ProductRequestLine circuitBreakerFallback = ...;
FeignDecorators decorators = FeignDecorators.builder()
.withCircuitBreaker(CircuitBreaker.ofDefaults("product"))
.withRateLimiter(RateLimiter.ofDefaults("product"))
.withFallback(requestFailedFallback, FeignException.class)
.withFallback(circuitBreakerFallback, CircuitBreakerOpenException.class)
.build();
return Resilience4jFeign.builder(decorators)
.encoder(new SpringEncoder(messageConverters))
.decoder(new SpringDecoder(messageConverters))
.target(ProductRequestLine.class, "http://localhost:8080/");
}
데모코드
https://github.com/Kouzie/spring-cloud-demo/tree/master/app/order/src/main